-
나무위키에 본인 문서를 작성해보자! - 2꿀팁 2022. 12. 27. 01:12
아직 안 보셨다면 1편부터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본인 문서를 작성해보자! - 1
나무위키가 세워지기 이전부터 꾸준히 위키에서 활동해온 경력을 살려, 나무위키에서 본인이나 소속된 단체, 기업 등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고 싶을 때 무엇을 알아야 할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towater.tistory.com
이번에는 나무위키의 문법과, 나무위키에 독립된 문서를 만들기 위한 기본 양식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저번보다는 그래도 쉽게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초고급 문법이 아닌 기본적인 문법은 나무위키에 쉽게 설명되어 있는데요, 저희는 꼭 필요한 문법만 배워갈 겁니다. 그래도 제 글이 이해가 잘 안 되면 참고하시면 좋아요.
나무위키:문법 도움말 - 나무위키
서식이 적용된 텍스트의 개행은 줄바꿈(엔터 키)이 아닌 [br] 매크로를 사용해야 합니다. 텍스트의 크기를 -5와 +5 사이의 정수를 입력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 기본 텍스트 크기는 0.9rem
namu.wiki
"나무위키:대문"은 나무위키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나오는 페이지입니다. 검색창에 작성하고 싶은 대상의 이름을 입력하고, 검색창 옆의 화살표를 누르시면 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문서가 없으면 이렇게 뜹니다. [새 문서 만들기] 또는 "편집"을 클릭합니다.
"역링크"는 해당 이름의 역링크를 확인해주는 페이지고, "토론"은 해당 문서에 문제나 이견이 있으면 이용자들끼리 규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토론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역사"는 해당 문서를 누가 언제 무엇을 편집했는지에 대한 모든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페이지고, "ACL" 은 누군가 문서를 멋대로 망치거나 했을 때 관리자가 일반 사용자의 편집을 제한할 수 있는데, 문서의 현재 편집 제한 단계 설정을 열람 가능한 페이지입니다.
기본 편집창인 "RAW 편집"입니다. 전 기본적으로 이 창을 사용합니다.
RAW 편집창에 자동완성 등의 몇 가지 편리한 기능이 더해진 "편집기"창입니다. 막상 써보면 오히려 답답할 때도 있어서 전 자주 쓰지 않습니다.
입력한 내용을 저장했을 때 어떤 모습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창입니다. 저장하기 전에 검토하셔야 실수 없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체크박스를 체크한 다음 저장을 누르면 저장됩니다.
빨간색 문구를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회원 가입을 하지 않고 나무위키를 편집하면 아이피가 보호되지 않고 영원히 기록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대략적인 위치 추적 등이 가능할 수도 있으므로 되도록 가입하시기를 권합니다.
일단 문서를 올리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 양식을 확인해볼까요? 나무위키에서 통용될법한 어투와 형식, 문법을 준수한 아무 내용의 문서를 적당히 만들어봤습니다.
[[분류:대한민국]]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 bordercolor=white,white><tablebgcolor=white,white><tablecolor=black,black> '''{{{+1 대한민국}}}[br]South Kore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대한민국정부기.svg|width=100%]]}}}||||<width=21%>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대표''' ||[[국민]] ||
|| '''설립''' ||1945년 8월 15일 ([age(1945-8-15)]년) ||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세종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청와대 정문, 너비=100%, 높이=100%)]}}} ||
|| '''링크''' ||[[https://www.korea.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gSfvUoRBAfRo3kqSph2as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gov_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hellopolicy|[[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hipolic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36_eoC3aDeg)]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입니다.
대한민국은 [[한반도|중국 동쪽의 반도]]에 위치한 [[국가]]다.
== 상세 ==
* 대한민국의 GDP는 1.73조 달러로 세계 13위에 달한다. 대한민국의 면적은 100,266 제곱킬로미터로 세계 109위에 달한다.
*대한민국은 [[고조선]]부터 시작해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 고려, 조선, 일제 강점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예맥한이 뭉쳐 하나의 민족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한식에는 김치, 불고기 등의 전통 음식이 꼽히지만 양념치킨, 한국식 짜장면 등의 대한민국이 세워진 다음 발달한 음식도 한식으로 쳐줘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인들은 예로부터 밥을 많이 먹는 [[대식가]]의 기질이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근면성실하여 세계 어느 곳에 가든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고, 어딜 가나 노래가 빠지지 않는 흥의 민족이다.
*한반도는 마치 호랑이가 앞발을 치켜든듯한 형상이다. 토끼를 닮았다는 의견도 있다.
*대한민국의 국화 무궁화에는 여러 품종이 있으며, 해충에
== 관련 문서 ==
*[[고구려]]
*[[일본]]
*[[중국]]
이 내용을 새 문서에 입력하고 저장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그저 복잡해보이고 재미없어보일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 배우고 나면 전혀 어렵지 않다는 걸 아시게 될 겁니다.
우선 나무위키는 하이퍼텍스트이기 때문에 링크 문법이 필요합니다. 내부 링크부터 알아볼까요? 개로 향하는 링크를 넣고 싶으면 [[개]]라고 치면 됩니다. [[개|멍뭉이]]라고 입력하면 멍뭉이라고 쓰여있는데 클릭하면 개 문서가 나오는 링크를 만들 수가 있죠.
그런데 여러분의 SNS, 홈페이지 링크를 홍보하려면 외부 링크 넣는 법도 알아야겠죠? 나무위키의 외부 링크는 내부 링크와 달리 초록색으로 표시되고 왼쪽에 링크 아이콘이 붙는 게 특징입니다. [[https://www.tistory.com/]]라고 입력하면 외부 링크가 되는데, 링크가 그대로 나오면 이쁘지 않고 꼴보기 싫으니 예쁘게 만들어봅시다. [[https://www.tistory.com/|홈페이지]]라고 입력하면 홈페이지라고 쓰여있는데 클릭하면 티스토리 홈페이지가 나오는 외부 링크가 완성됩니다.
하지만 링크를 좀 더 예쁘게 만들 수 있는 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정부의 유튜브 채널을 올리고 싶으면 [[https://www.youtube.com/@hipoli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의 형태로 이미지 외부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이 이미지 파일인데요, 왼쪽은 이미지 파일의 이름이고 오른쪽은 이미지 파일의 폭을 설정한 문법입니다. width는 폭, height는 높이인데요, 일반적으로 width=22로 고정하면 됩니다.
관리자가 외부 링크 왼쪽에 초록색 외부 링크 아이콘이 생성되지 않도록 등록한, 자주 쓰이는 사이트 아이콘만을 입력하면 외부 링크 아이콘이 생기지 않습니다. 무슨 페이지의 로고, 아이콘이 등록되었나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에 파일:(원하는 사이트 이름) 검색해보세요.
본사의 위치를 표기하고 싶다면 틀:지도를 활용해봅시다. [include(틀:지도, 장소=청와대 정문, 너비=100%, 높이=100%)]로 입력하면 청와대 정문이 표기됩니다. 구글 지도에 원하는 장소의 이름이나 주소를 검색했을 때 원하는 장소가 나온다면 "장소=" 오른쪽에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그냥 틀:지도만 표 안에 넣으면 둘레에 빈 공간이 생겨 보기에 안 좋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줍니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청와대 정문, 너비=100%, 높이=100%)]}}}
프로필 이미지도 넣어줄 수 있겠죠. 1편에서 알려드린 이미지 업로드법을 활용해 이미지를 올리신 다음,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줍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대한민국정부기.svg|width=100%]]}}} ||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white,white><tablecolor=black,black> '''{{{+1 대한민국}}}[br]South Korea''' ||
그런데 이건 무엇일까요? 멋모르고 보면 뭔 소리인지 헤멜 수 있는데 알고 보면 이것만큼 직관적인 게 없습니다. <tablealign=right>는 프로필 표를 문서 오른쪽에 배치하라는 뜻입니다. 규정상 오른쪽으로 배치해야 하므로 없어선 안 됩니다. <tablewidth=400>은 프로필 표의 너비입니다. 별 문제 없으면 400으로 고정하시고, 원하시는대로 조절하셔도 됩니다. <tablebgcolor=white,white>는 테이블의 배경을 흰색으로 만들라는 뜻입니다. <tablecolor=black,black>은 테이블의 글자 색깔을 검은색으로 만들라는 뜻입니다. '''{{{+1 대한민국}}}[br]South Korea'''에서 {{{+1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의 글씨를 한 단계 크게 만들라는 뜻이고, [br]은 엔터를 치지 않고도 줄바꿈 효과를 내주며, '''대한민국'''은 글씨를 굵게 해줍니다. 굳이 엔터를 치지 않고 [br]을 입력한 이유는, 엔터를 치면 '''을 두 번 써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색깔을 설정하지 않고 만들면 다음과 같은 색깔로 표가 만들어집니다.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hrd5hRviDU)]}}} ||프로필 이미지가 들어갈 자리에 영상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로 넣어주면 되는데요, 위아래에 레터박스가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다음과 같이 넣어줍니다.
||<-2> {{{#!wiki style="margin: -4px -10px"
[youtube(zhrd5hRviDU, height=250)]}}} ||유튜브 영상 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zhrd5hRviDU에서 zhrd5hRviDU만 붙여넣으면 됩니다. 테이블의 너비<tablewidth>에 따라서 레터박스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수 있으니 height를 적절히 조절해보시면 됩니다. 다른 사이트의 영상도 붙여넣기가 가능한데, "나무위키:문법 도움말" 문서의 "동영상" 문단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분류:대한민국]]은 분류 링크라고 해서, 나무위키에서 특정 문서에 표기하는 태그 같은 겁니다. 분류를 하지 않으면 분류가 안 된 문서에 실시간으로 뜨기 때문에 책잡힐 일을 피하려면 무조건 하나 이상 넣는 게 좋습니다. 문서 맨꼭대기 아니면 맨밑에 넣어주세요. SNS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면 [[분류:인스타그램 계정]], [[분류:유튜버]], [[분류:페이스북 페이지]], [[분류:트위터 사용자]] 따위를 넣어주면 되고, 기업이라면 [[분류:한국의 기업]] 넣으시면 될 겁니다. 음악가라면 [[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 넣어주시고요.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 '''{{{+1 대한민국}}}[br]South Korea'''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리나라 우리가 지키자
안녕하세요
== 상세 ==
=== 상세 1 ===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프로필 표 밑에 목차, clearfix 문법을 적용해야 프로필 표가 본문 내용을 침범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습니다. 문단과 리스트는 보여드린 것처럼 만드시면 됩니다.
설명드린 내용을 전부 이해하셨다면 기본적으로 나무위키에 문서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1편에서 설명드렸듯이 나무위키 규정을 엄수하셔야 편집 차단 등의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 운영진은 그리 친절하지 않고, 애초에 한국 사이트도 아니라서 원칙적으로는 한국 법의 적용 또한 받지 않는 곳입니다.
1편에서 설명드린 바를 준수한다면 어지간해서는 문서 두어 개 만들었다고 차단되지 않겠으나, 책잡힐 일을 피하려면 본문의 분량을 공백 제외 450자 이상 채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구글에 "글자수세기" 검색하시면 글자 수를 세주는 사이트가 많이 나옵니다. 본문 분량이 공백 제외 450자 미만이면 역링크가 없을 경우 맘대로 삭제해도 분량 늘리기 말고는 살릴 방법이 없습니다.
역링크는 다른 문서에서 특정 문서로 향하는 내부 링크를 의미하는데, 나무위키의 역링크 문서를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https://namu.wiki/w/%EC%97%AD%EB%A7%81%ED%81%AC
문서의 종류에 따른 문법 적용 예시에 대해서는 템플릿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https://namu.wiki/w/%EB%B6%84%EB%A5%98:%ED%85%9C%ED%94%8C%EB%A6%BF
분류:템플릿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엉망진창으로 문서를 만들다가 차단당할 염려 없이 자유롭게 연습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연습장 시리즈를 활용해보시면 됩니다.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C%97%B0%EC%8A%B5%EC%9E%A5
나무위키:연습장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나무위키의 기능 도움말을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
나무위키:기능 도움말 - 나무위키
나침반(최근 변경)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문서의 글자 수가 늘면 +초록색, 동일하다면 회색, 줄어들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문서명 아래에 있는 문구는 편집
namu.wiki
읽느라 고생하셨고, 다음에는 나무위키에 원하는 내용을 최대한 안전하게, 태클 걸릴 일 없이 서술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위키에 본인 문서를 작성해보자! - 1 (0)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