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무위키에 본인 문서를 작성해보자! - 1꿀팁 2022. 12. 27. 00:56
나무위키가 세워지기 이전부터 꾸준히 위키에서 활동해온 경력을 살려, 나무위키에서 본인이나 소속된 단체, 기업 등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고 싶을 때 무엇을 알아야 할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아셔야 할 점을 요약해볼까요?
- 본인이나 단체, 기업이 나무위키의 등재 기준 등의 규정을 만족하는가? 나무위키에는 나무위키에서 할 수 있는 행동, 할 수 없는 행동을 정한 규정이 있고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을 어기면 나무위키에서 활동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규정이 방대하고 엄격하기 때문에 사소해 보이는 일로도 문서 편집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 문서는 나무위키의 문법을 활용하여 작성되어 있는가? 나무위키는 나무위키만의 문법 '나무마크'를 활용하여 작성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와는 위키 문법의 종류가 다른데요, 컴퓨터 언어 중에서도 Python과 C++의 문법이 다르듯이 위키마다 언어가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무위키는 위키백과보다는 편집하기 쉽고, 본인의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아셔야 할 부분은 몇 개 되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나무위키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문법을 활용하지 않고 대체 수단을 활용하시면 문서가 비정상으로 간주되어 신고, 삭제될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나무위키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양식을 모아둔 템플릿 문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쉽게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문서가 나무위키에서 용인되는 자세로 작성되어 있는가? 나무위키에서는 가급적 찬양성 서술을 자제하고 중립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편향적 서술은 규정상으로도 금지되어 있고 차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나무위키에서 흔히 쓰이는 위키식 말투를 사용하지 않고 인스타에서 흔히 보일만한 말투를 사용하면 그것 또한 신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근거 신뢰성 순위 등의 나무위키에서 용인하는 출처를 첨부하시면 해당 서술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점을 지키시면 웬만해선 큰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우선 나무위키의 규정을 살펴볼까요?
나무위키에 처음 접속하시면 이것저것 적혀있는 틀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것저것 내용이 많다 보니 엄두가 나지 않으실 수가 있어요. 그래서 제가 정말 필수적으로 아셔야 할 것들 위주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규정은 많지만 자기 문서를 나무위키에 쓰기 위해 우선적으로 아셔야 하는 문서는 바로 등재 기준입니다.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 나무위키
이 규정은 이미 등재 기준을 만족하여 문서화된 다른 문서와 해당 문서의 하위 문서에만 해당되는 규정입니다. 별도 등재 기준이 존재하는 문서와 관련된 관련인(인물의 가족, 친구, 동료, 단체
namu.wiki
목차만 해도 85줄이나 되기 때문에 갑갑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본인에 해당하는 경우를 잘 찾아가시면 그리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우선 등재하고자 하는 대상이 기업일 경우부터 살펴볼까요?
여기서 핵심은 기업 관련 문서는 별도의 토론 합의가 없다면 자유롭게 등재가 가능합니다. 라는 점입니다. 일단 기업이기만 하면 어떤 기업이든 개인사업자든 간에 나무위키에 올릴 수 있네요. 그런데 이것만 믿고 무작정 올리시면 위험할 수 있는데요, 나무위키를 이용하는 다른 분들이 해당 문서가 기업인지 아닌지 확인이 불가능하면 문서가 삭제되고 편집이 차단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누가 봐도 어중이떠중이가 아니라 진짜 기업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을까요? 우선 기업 등재기준을 보시면 NICE Biz Info에서 상호로 조회된 정보가 있을 때 기준을 만족한다고 쓰여있습니다.
https://www.nicebizinfo.com/cm/CM0100M001GE.nice
나이스비즈인포 | NICEbizinfo (NICE기업정보)
나이스비즈인포에서 기업정보, 재무정보, 신용정보가 담긴 기업정보 분석보고서를 만나보세요. .
www.nicebizinfo.com
상호나 사업자번호를 입력했을 때 여기에서 확인이 되면 기업이라는 증거가 있는 셈이죠. 이 밖에도 bizno 등의 유사 업체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입력해도 결과가 없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
제가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나이스비즈인포 웹페이지 하단을 보니 사업자등록번호랑 상호가 적혀있네요.
상호가 있으면 무조건적으로 확인 가능한 사이트가 하나 있죠.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입니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www.iros.go.kr
아니 그런데 이용 시간도 제한되어 있고, 보안프로그램을 깔아야 하는 등 상호 조회 한 번 하자고 불편한 점이 많아요. 그럴 때는 공정거래위원회 등록현황을 확인해봅시다.
https://www.ftc.go.kr/www/bizCommList.do?key=3765
(링크를 클릭하시면 오류 메시지가 뜹니다. 열린 창의 주소에서 3765 뒷부분을 지우신 주소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상호랑 사업자등록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나이스비즈인포 또한 무리없이 확인 가능합니다. 혹은 아래의 링크 wrkr_no= 뒷부분에 원하시는 기업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 빼고 입력하셔도 됩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https://www.ftc.go.kr/bizCommPop.do?wrkr_no=1248100998
그런데 전자상거래업체, 즉 온라인 업체만 확인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럴 때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teht.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ab/a/a/UTEABAAA13.xml
국세청 홈택스
teht.hometax.go.kr
아니면 네이버 플레이스, 스마트플레이스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에 업체를 등록하려면 사업자등록번호가 필요한 등 실제 업체라는 게 증명되어야 하기 때문이죠. 사업자등록번호를 모르신다면 이름을 네이버 지도에 검색해서, 네이버 지도에 등록된 업체 이름을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에 검색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지도
공간을 검색합니다. 생활을 연결합니다. 장소, 버스, 지하철, 도로 등 모든 공간의 정보를 하나의 검색으로 연결한 새로운 지도를 만나보세요.
map.naver.com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
우리 업체 사업의 시작, 스마트플레이스
new.smartplace.naver.com
그럼 이렇게 확인한 걸 어떻게 증거라고 보여줄 수 있을까? 저는 상호나 사업자등록번호 및 유효성 검증을 이미지 캡쳐해서 나무위키에 올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파일 올리기 - 나무위키
namu.wiki
윈도우의 경우 아주 편리한 캡쳐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죠. 파일을 업로드한 다음 출처를 적으시고 분류를 정하시면 되는데요, 출처는 해당 사이트 주소나 이름, 분류는 등재 기준 증명용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나무위키에 파일이 올라가면 증거로 첨부할 수 있습니다.
[*등재기준 [[:파일:10005.png|사업자등록번호 유효 확인.]] 나무위키 등재 규정 (기업) 충족.]
문서 내부에 다음과 같이 첨부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상호나 사업자등록번호를 올리는 게 꺼려질 수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그림판 등으로 특정 부위를 가리거나 모자이크를 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상위 기준인 단체 기준, 인터넷 유명인 기준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실 수도 있습니다.
등재하고자 하는 대상이 단체일 때를 살펴봅시다.
요약하자면 제도권 언론에 세 번 보도되었을 때, 세 개 이상의 논문에 언급되었을 때 등재가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나무위키에서 말하는 제도권 언론은 뭘까요? 나무위키 규정에 적혀있습니다.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 - 나무위키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 더 타임즈, 더 가디언, BBC, 인디펜던트, 로이터 통신, 데일리 텔레그래프, 더 이코노미스트, ITV, 채널 4, 채널 5, 스카이 뉴스 미국: 뉴욕 타임즈, 월스트리트 저널, 워싱턴
namu.wiki
링크가 많이 지저분한데, 나무위키에 제도권 언론이라고 검색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해당 사항이 없으시다면 인터넷 유명인 기준을 보시면 됩니다.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 나무위키
이 규정은 이미 등재 기준을 만족하여 문서화된 다른 문서와 해당 문서의 하위 문서에만 해당되는 규정입니다. 별도 등재 기준이 존재하는 문서와 관련된 관련인(인물의 가족, 친구, 동료, 단체
namu.wiki
목차를 보니 인물 등재 기준의 대부분을 인터넷 유명인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유명인이라고 하고 있지만 기업이나 단체에도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그럼 어떤 기준이 있을까요?
- 방송 플랫폼 : 팔로워 만 명 혹은 조회수 100만 회 이상
- 미디어 플랫폼 : 구독자 3만 명 이상 혹은 누적 조회수나 좋아요 500만회 이상(유튜브 제외)
- 마이크로 블로그 : 팔로워 만 명, 혹은 1개 게시글 반응 10만 이상, 혹은 3개 게시글 반응 3만 이상
- 서비스형 블로그 : 팔로워 만 명 이상, 혹은 방문자수 200만명 이상
오.. 복잡합니다. 팔로워 혹은 구독자, 그리고 조회수를 확인하면 됩니다. 그러면 방송 플랫폼, 미디어 플랫폼,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형 블로그란 뭘까요?
- 방송 플랫폼 : 트위치, 아프리카TV, 카카오TV, 스푼 라디오, V LIVE, 판도라TV, 팝콘TV 및 이에 준하는 플랫폼
- 미디어 플랫폼 : 튜브, 데일리모션, 비메오, 니코니코 동화, 빌리빌리, 사운드클라우드, 팟빵, 팟티, 틱톡 및 이에 준하는 플랫폼
- 마이크로 블로그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텀블러, 카카오스토리, 마스토돈, 브콘탁테, 시나 웨이보, 핀터레스트, 픽시브 및 이에 준하는 플랫폼
- 서비스형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이글루스, 브런치, 블로그스팟, 워드프레스닷컴, 아메바, FC2 블로그 및 이에 준하는 플랫폼
그러니까 예를 들면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3만 명이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만 명 이상이라면 나무위키에 작성할 수 있겠군요. 그런데 채널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프로필 표에 링크로 달아주면 됩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좀전에 설명드렸듯이 구독자, 조회수가 나온 페이지를 이미지 캡쳐해서 나무위키에 올리는 것이 확실합니다. 만약에 해당 페이지가 삭제되어서 누군가 딴죽을 걸어도 문서를 유지할 수 있죠.
혹시 본인이 작가나 음악가 등 상업작품의 제작자라면 어떻게 될까요?
음악가 : 멜론, 스포티파이에 본인 페이지가 있고 프로필 사진이 있거나 실물 음반을 발매함
일러스트레이터 : 상업작품의 공식 일러스트를 작업함
해당 상업작품이 나무위키에 등재됨
본문이 450자 이상이어야 함
그렇다고 합니다. 특히 음악가의 경우 이미지 캡쳐를 활용하는 편이 확실하겠죠? 마지막으로 국내 인물일 때를 살펴봅시다.
이번에도 제도권 언론에 세 번 보도된 경우가 나왔습니다, 이 외에 네이버, 다음 인물검색은 만족해야 하는 조건이 워낙 많아서 쉽지 않기 때문에, 다른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를 대비한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아는 점을 정리해보려니 생각보다 내용이 너무 많아서 좀 길어졌는데요, 하지만 알아야 할 규정이 이것저것 더 있죠. 안전하게 가려면 나무위키 규정 전체를 한 번쯤 훑어봐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렵고 지루하고 힘듭니다. 나무위키에서 초보자 분들이 자주 저지르시는 실수를 적어둔 걸 읽어봅시다.
나무위키:자주 하는 실수 - 나무위키
CCL은 Creative Commons License(크리에이티브 커먼스 라이선스)의 약자로, 저작물에 대한 이용허락 규약입니다. 해당 제도의 목적은 창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공유할 때 그것이 공유된 저작물이라는
namu.wiki
도움말도 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8F%84%EC%9B%80%EB%A7%90
나무위키:도움말 - 나무위키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편집창에서 사용하는 단축키에 대한 내용은 나무위키:편집 도움말 문서 를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에 대한
namu.wiki
잘 모르는 점이 있으면 나무위키 게시판의 그루터기, 문의 게시판에서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읽느라 고생하셨고, 다음에는 나무위키의 문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주의사항 : 지금까지 설명드린 규정은 시일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으니 실제 규정을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위키에 본인 문서를 작성해보자! - 2 (0) 2022.12.27